여자를 판별하는 기준
예쁜 여자를 판별하는 기준은 태어나기 전부터 각인되었다?
‘뚱뚱하고 못생겼다’라고 정의 내려진 여성들이 항변하는 말 중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이 ‘양귀비도 원래는 뚱뚱했었다! 미의 기준은 시대에 따라 바뀌는 것이다!’라는 말이다. 역사적으로 봤을 때 이 말은 틀린 게 아니다. 양귀비는 요즘 말로 치면,호리호리한 현대미인이 아니라 6·70년대의 글래머스타일의 풍만한 모습이라는 역사적 기록이 남아있다. 그렇다면 원래 미의 기준이란 건 따로 정해져 있지 않고 시대적 조류에 의해서 그때그때 바뀌는 것일까. 음,미의 각론에 대해서는 인정할 수 있지만 원론적으로 보면 아니라고 봐야겠다.
얼마 전 국내 유치원에서 예쁜 여선생과 못생긴 여선생 등 두 명의 여자선생님을 보낸 다음 그 수업태도를 살펴보는 실험을 한 적이 있다. 5·6세짜리 아이들이었는데 수업의 집중도는 예쁜 여선생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꼬마들이 어른들이 정해놓은 기준에 세뇌되었다고 판단될 수도 있으니 다른 실험결과를 하나 더 예로 들겠다.
생후 3개월짜리 유아도,어른들이 ‘미인’이라고 판단하는 여자를 더 오래 바라본다는 것이다. 같은 기준으로 본다면 더 젊은 여자에게 더 오래 바라보는데,이유가 뭘까. 간단하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미적 기준’을 머리에 각인시킨 다음에 태어나는 것이다. 물론 그 미적기준은 개개인마다 편차가 있고 시대에 따라 다르기에 미인의 기준을 논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여기서 말하는 미적기준은 바로 ‘생식에 관한 기준’에 부합하는 미라는 것이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섹스를 생각할 때 자신의 2세를 보다 건강하게 낳아줄 여자를 찾게 된다. 그런 기준에서 본능적으로 ‘생식에 합당한 미인’을 찾게 되는데 그 기준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바로 나이와 허리-엉덩이 비율(WHR)이다. 나이는 쉽게 수긍이 갈 것이다. 젊음만한 화장품이 없다는 말처럼 젊은 여자가 생식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두 번째 기준인 허리-엉덩이 비율은 허리사이즈를 엉덩이사이즈로 나눴을 때 0.7에 얼마나 근사치를 이루냐는 것인데 비너스상이나 마릴린 먼로,소피아 로렌,그리고 지금의 미인들 모두가 거의 0.7에 근사치를 이루는 허리-엉덩이 비율을 보이고 있다. 바로 생식에 가장 이상적인 사이즈라고 0.7이라는 값을 기억하고 태어나는 것이었다.
미의 기준은 변한다는 여성들의 말이 맞는 말이겠지만 남자라는 동물은 본능적으로 자신들의 2세를 생각하며 여자를 선택한다는 것. 어찌보면 무서운 이야기이고 여성의 상품화를 인정하는 연구내용이지만 어쩌겠는가. 남자라는 동물이 그렇게 태어난 것을.
야외용 침대로 애용되고 있는 해먹이 언제부터 보편화된 것인지에 대한 기록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마차가 주 교통수단이었던 시대에 이미 해먹을 달고 다닐 정도로 유행했던 것만은 분명하다.
'마차 해먹'의 잔재는 지금까지 파리 택시의 보조의자로 남아 있다고 한다. '마차 해먹'은 차가 흔들리는 방향에 따라 다는 방향을 달리한 것이 특징. 마차가 좌우로 흔들리는 길에서는 가로로 달았고 앞뒤로 흔들리는 길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달아 이용자의 '고통'을 덜어주었다.
나폴레옹이 이 해먹을 강철 침대틀에 맞춰 개량해 전장에서 애용하기 시작한 것은 1815년. 그는 영국과 건곤일척의 해전을 벌인 워털루까지 이 해먹 마차를 타고 갔을 정도. 그러나 아무리 키 작은 나폴레옹이었지만 마차 안의 해먹에 눕기에는 키가 너무 컸다. 그래서 따로 발을 뻗칠 수 있는 나무상자를 부착해서 사용했다고 한다.